반응형

세상읽기 5

[ 세상읽기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분서갱유

안녕하세요. 오늘도 돌아온 고사성어 알아보기 시간입니다. 분서갱유에 대해 같이 보도록 해요. 분서갱유(焚書坑儒)의 뜻 책을 불태우고 학자들을 파묻는다는 뜻 사상의 탄압. 분서갱유의 유래 춘추전국시대 진시황제 때의 일로, 기원전 213년과 기원전 212년에 일어난 별개의 두 사건을 하나로 합쳐서 일컫는다. 실용서를 제외한 사상서를 불태우고 유학자를 생매장한 탄압책이다. 진시황은 이전까지는 중국 대륙의 혼란을 종식시킨 유능한 군주였으나, 이 사건으로 인해 폭군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진시황 시대 분서갱유, 즉 전국적인 사상 탄압의 단초가 되었다고 평가받는 사건은 기원전 213년 함양 연회에서 일어났다. '옛 사상과 제도에 매달려 있다면 통치에 해로울 것'이라는 주장 아래 의약 · 점술 · 농업 등의 책을 ..

카테고리 없음 2022.12.25

[ 세상 읽기 ] 주지육림의 유래와 뜻 살펴보기, 꼭 알아야 할 고사성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사성어의 유래와 뜻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간간이 비는 시간 동안에 살펴보시면 어떨까요? 주지육림에 대해 알아볼게요. 주지육림 (酒池肉林) 직역하면 술로 된 연못과 고기로 된 숲을 이른다는 뜻으로 사치스럽고 방탕한 삶을 말한다. 타락하여 호의호식하는 지도자를 비판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주지육림의 유래 사기에 ‘술로 연못을 삼고 고기를 매달아 숲을 삼고, 남녀로 하여금 벗고 그 사이에서 서로 쫓게 했으며, 밤새 술을 마셨다.’고 나온다. 하나라 걸왕이 말희를 위해 만든 것이 시초인데, 훗날 은나라 주왕이 달기의 요청을 받아들여 다시 만들었다고 한다. 연못 가득 술을 채워 넣고 나뭇가지마다 고기를 걸어두어 아무 데서나 먹고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걸왕과 주왕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알아가는 자세 2022.12.22

[ 세상 읽기 ] 왠지와 웬지, 며칠과 몇일 - 꼭 알아야 할 맞춤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꼭 알아야 할 맞춤법으로 돌아왔습니다. 왠지 와 웬지 며칠과 몇일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오늘 저와 딱 정리하고 가자고요. 1. 왠지 와 웬지 왠지 : 뚜렷한 이유 없이를 뜻하는 부사어 웬지 : 어떠한을 뜻하는 관형어 이렇게 보면 사실 전혀 감이 오질 않습니다. 오늘 제가 알려드릴게요. 왠지는 왜인지의 준말로 ‘왠지’라고 표현할 때만 사용합니다. 그 외에는 모두 ’웬‘을 사용해 주세요. ‘왠지’를 표현할 때는 ‘왠지’ 사용, ‘웬지’라는 표현은 없음 그 외 용법에서는 모두 ‘웬’을 사용 웬일인지, 웬 떡이야, 웬일이야 2. 며칠과 몇일 이것도 굉장히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여기서는 왠지 몇일이라고 써야 맞을 것 같지만! 암기합시다. 몇일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무조건 ‘며칠’ 이 맞..

알아가는 자세 2022.12.20

[ 세상 읽기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토사구팽 (兎死狗烹)

열국지에 나온 또 다른 고사성어입니다. 우리도 뒷글자만 따서 “팽당했다”는 표현으로 자주 쓰는 말이죠. 팽-에서 뭔가 버려지는 듯한 느낌이 절묘합니다. 그럼 토사구팽의 뜻과 유래를 알아볼까요? 토사구팽의 뜻 토끼를 잡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듯, 쓸모가 끝나면 이용만 당하고 버려진다는 뜻이다. 토사구팽의 유래 역사적으로 이런 사례가 많기 때문에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나라를 세운 한신(韓信)의 이야기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래는 춘추전국시대의 월왕 구천과 범려, 문종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춘추시대에 오나라와 월나라는 이웃에 인접한 나라였기에 전쟁이 잦을 수 밖에 없었다. 잦은 다툼 끝에 기원전 497년 오나라가 월나라를 이기자, 월왕 구천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오나라에..

카테고리 없음 2022.12.09

[ 세상 읽기 ] 고명딸의 뜻, 재벌집 막내아들에 나온 그 말

안녕하세요. 오늘은 화제의 드라마죠 송중기님 주연의 재벌집 막내아들에 나온 표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양가의 총수인 진양철이 자신을 챙겨달라 애교 섞인 투정을 하는 딸, 진화영에게 “너는 내 고명딸이다” 라고 하는데요. 고명딸! 무슨 뜻일까요? 고명딸 아들 많은 집의 외딸을 일컫는다. 음식에서 고명은 모양과 빛깔을 돋보이게 하려고 얹거나 뿌리는 부재료다. 고명딸도 주재료 위에 장식하는 고명처럼 아들만 있는 집안의 꽃이자 분위기를 돋워주는 딸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전남과 평안 지방에서는 고명딸 대신 ‘양념 딸’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고명딸에 여성비하적 뜻이 담겨있다 하여 ‘외딸’로 표현한다. 참고로 외동딸과는 다르다. (외동딸=무남독녀) 아 그렇군요. 지금의 대우로 만족하라는 아버지의 뜻이 담..

알아가는 자세 2022.12.05